청년내일 채움공제는 사회 초년생에게
자산 형성의 기회를 제공하는 최고의 정부 지원 제도입니다.
"월급 모으기도 빠듯한데, 어떻게 3천만 원을 모으지?"
이 제도를 알고 나면, 미래가 조금 더 가볍게 느껴질 거예요.
청년내일 채움공제란?

정부와 기업이 함께 돕는 청년 자산 형성 제도입니다.
청년내일 채움공제는 중소기업에 취업한 청년이
일정 기간(2년~5년) 근무하면,
정부·기업·본인이 함께 납입한
공제금을 목돈으로 수령하는 제도입니다.
구분 | 2년형 | 3년형 | 5년형 |
본인 납입액 | 약 300만 원 | 약 600만 원 | 약 1,080만 원 |
기업 지원금 | 최대 600만 원 | 최대 900만 원 | 최대 1,200만 원 |
정부 지원금 | 최대 900만 원 | 최대 1,800만 원 | 최대 3,600만 원 |
총 수령 예상액 | 약 1,800만 원 | 약 3,300만 원 | 약 5,880만 원 |
※ 정책 변경에 따라 금액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청년내일 채움공제 자격조건 확인하기

참여를 원하신다면 청년내일 채움공제 자격조건을 먼저 체크해야 합니다.
기본 조건
● 만 15세 ~ 34세 이하의 청년
● 중소기업/중견기업 정규직 취업자
● 고용보험 가입 이력이 12개월 미만이어야 함
● 정규직 전환일로부터 6개월 이내 신청
제외 대상
● 이전에 내일 채움공제를 가입한 이력이 있는 경우
● 공공기관 및 대기업 근무자
● 공무원 및 공공기관 종사자는 참여 불가
● 계약직, 프리랜서, 일용직 등 비정규직은 신청 불가
꿀팁: 병역 기간은 나이 계산 시 제외됩니다!
공무원은 왜 제외되나요?
공무원은 고용 안정성과 복리후생이 보장되는 직군으로,
청년내일 채움공제의 취지
(중소기업 청년 취업 촉진 및 장기근속 유도)와
맞지 않아 지원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청년내일 채움공제 신청방법 한눈에 정리
처음 접하는 분들은 절차가 어렵게 느껴질 수 있어요.
하지만 아래 순서대로 따라 하면 쉽게 신청할 수 있습니다.
STEP 1: 워크넷 회원가입
https://www.work.go.kr → 회원가입 및 이력서 등록
STEP 2: 청년내일 채움공제 홈페이지 접속
https://www.sbcplan.or.kr → 공제 가입 신청 클릭
STEP 3: 기업 및 청년 모두 신청
기업에서도 동일하게 신청해야 ‘매칭’ 완료
STEP 4: 약정 체결 및 납입 시작
매월 자동이체 설정 후 공제금 납입 진행
청년내일 채움공제 납입금액 및 수령액 정리

가장 궁금한 부분은 바로 얼마를 납입하고, 얼마나 받는가?입니다.
월 납입금액: 약 125,000원 (3년형 기준)
총 납입금: 600만 원
예상 수령액: 약 3,300만 원
(본인 납입금 + 기업지원금 + 정부지원금 합산)
※ 5년형은 월 약 180,000원 수준이며
수령액은 약 5,800만 원까지 가능합니다
기업이 받는 혜택, 청년내일 채움공제 기업지원금
기업 입장에서도 이 제도는 청년 고용 유지를 위한 마련책이 됩니다.
기업 혜택
● 고용유지장려금 최대 1,200만 원 지원
● 청년 장기근속 유도
● 인재 채용 시 신뢰감 상승
● 고용노동부 평가에서 가점 요소
중도해지 시 손해는? 청년내일 채움공제 중도해지 주의사항
청년내일 채움공제 중도해지를 하면 수령액이 확 줄어듭니다.
다음과 같은 경우는 공제금 일부 또는 전부가 지급되지 않을 수 있어요.
해지 사유 | 환급 대상 |
자진 퇴사 | 본인 납입금만 환급 |
기업 부도/폐업 | 본인 납입금 + 일부 정부지원금 |
정당한 사유 없는 해지 | 기업 및 정부지원금 모두 미지급 |
장기근속을 위해 계획적으로 시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Q&A: 청년내일 채움공제에 대해 자주 묻는 질문
Q1. 공무원도 청년내일 채움공제에 가입할 수 있나요?
A1. 안타깝게도 공무원 및 공공기관 종사자는
해당 제도에 참여할 수 없습니다.
제도 목적이 중소기업 근무 청년의 자산 형성 지원이기 때문입니다.
Q2. 정부지원금은 세금으로 환급되나요?
A2. 아닙니다.
별도 세금환급과 관계없이 청년공제 전용 예산으로 지원됩니다.
Q3. 청년내일 채움공제 3년형과 5년형 차이는 뭔가요?
A3. 기간이 길수록 수령 금액이 높지만, 매월 납입액도 증가합니다.
직장 안정성이 높은 경우 5년형을 추천합니다.
Q4. 이직하면 어떻게 되나요?
A4. 이직 시 새로운 기업이
공제 사업장으로 등록되어 있으면 이전 신청이 가능합니다.
Q5. 납입을 중단하면 어떻게 되나요?
A5. 자동 해지될 수 있으며,
해지 시 손해가 클 수 있으니 미리 상담이 필요합니다.

마무리하며
청년의 자산 형성, 청년내일 채움공제로 시작해 보세요!
당장 큰돈을 모으기 어렵다고 포기하지 마세요.
청년내일 채움공제는 소액을 납입하며
큰 자산을 만들 수 있는 최고의 제도입니다.
지금이 바로 시작할 시간입니다!
이상 청년내일 채움공제에 관한 글을 마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