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약 문제나 돈 문제로 고민 중이신가요?
내용증명은 상대방에게 내 의사를 공식적으로 알리고,
나중에 법적 분쟁이 생겼을 때
유리한 증거로 삼을 수 있는 유용한 수단입니다.
하지만 많은 분들이 “내용증명이 정확히 뭔지”,
“어떻게 보내야 하는지”, “정말 효력이 있는지” 헷갈려하시죠.
이 글에서는 내용증명의 뜻부터 보내는 이유,
우체국에서 보내는 방법, 실제 효력까지 차근차근 정리해 드립니다.
읽고 나면, 누구나 당장 휴대폰으로도 내용증명을 보낼 수 있게 될 거예요!
내용증명이란? 뜻부터 정확히 이해하자

내용증명이란, 발신인이 수신인에게 어떤 내용을
언제 보냈는지를 우체국이 공적으로 증명해 주는 문서입니다.
보통 법적 분쟁이 예상될 때 보내며,
향후 소송 시 “내가 이렇게 통보했었다”는 증거로 활용됩니다.
핵심 요약
항목 | 설명 |
정의 | 문서의 내용을 우체국이 인증해주는 제도 |
목적 | 의사표시, 계약해지, 청구 등의 사실 입증 |
강제력 | ❌ 법적 강제력은 없음 (소송 필요 시 증거로 활용) |
내용증명을 보내는 이유 4가지

① 상대방에게 내 입장을 분명히 전달하기 위해
예: 계약 해지 통보, 대금 지급 요청 등
② 법적 분쟁에 대비해 증거를 남기기 위해
이후 법정에서 “이런 요구를 했다”는 사실을 입증할 수 있어요.
③ 심리적 압박을 통해 자발적 이행을 유도하기 위해
받는 사람은 “법적 대응 들어오겠구나…”라고 느끼게 됩니다.
④ 채권 소멸시효를 중단시키기 위해
소멸시효는 차후에 글을 설명드리겠습니다.
단, 이후 6개월 내 소송 제기가 필요해요.
우체국 내용증명 보내는 방법 (오프라인 & 온라인)

1. 직접 우체국 방문
◈ 준비물: 내용증명서 3부(발신용, 수신용, 우체국보관용), 신분증
◈ 절차: 내용 작성 → 우체국 방문 → 내용증명+등기 접수
접수 후 1부는 받는 사람에게 발송되며,
1부는 우체국에서 나머지 1부는 보내는 사람에게 직인을 찍어서 줍니다.
2. 휴대폰으로 온라인 내용증명 (인터넷우체국)
◈ 접속: 인터넷우체국에 접속 후 → 메인페이지에서
맨위왼쪽에 우편항목에 있는 증명서비스의 내용증명을 클릭합니다
◈ 로그인: 간편 인증 or 공동인증서
◈ 작성: 온라인 작성 또는 파일 첨부
◈ 인터넷우체국 내용증명 이용안내
문서 작성 여백 기준(A4 세로)
최소 상20mm, 하40mm, 좌15mm, 우15mm 이상
문서 편집기 프로그램 이용 시 유의사항
[문서 첨부하기] 가능한 문서파일
pdf, hwp, doc, docx, ppt, pptx, xls, xlsx
문서첨부 가능 버전
한컴오피스(2010, 2014), MS오피스(2007, 2010, 2013)
문서파일 상·하단에 쪽번호, 꼬리말 등이
추가되면 파일 업로드가 불가능합니다.
망분리(클라우드) 환경에서는 편집기 사용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편집기 미지원 사항으로 인터넷 접수가 어려운 경우,
우체국창구 내용증명을 이용 바랍니다.
제공되는 편집기에서 직접 문서를 작성하거나,
화면하단의 '내용증명 양식 다운로드'에서
샘플파일을 다운로드 받아 편집한 후,
편집기에 업로드하여 문서 작성이 가능합니다.
(단, 업로드한 내용은 편집기에서 수정 불가)
내용증명 접수 후 1시간 이내에만 취소 가능
(1시간 경과 시 우체국창구에서 반환청구만 가능)
우편물 반환청구는 가까운 우체국에서 가능합니다.
(인터넷우체국에서는 반환청구 불가)
◈ 배달 소요일 수
등기통상 : 접수한 다음날부터 3일 이내 배달
익일특급 : 접수한 다음날 배달 (14시 이전 결제 분에 한함)
※ 제주 전 지역 익일특급 배달일 D+2일로 조정 (시행일 : '20. 2. 3.)
※ 14시 이후 결제 분은 하루가 더 소요됩니다.
토요일, 일요일 및 공휴일은 배달 소요일 수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우편물 송달기준 적용 곤란지역은 배달 소요일이 추가 적용됩니다.
◈ 요금안내
구분 | 우편요금 | 등기수수료 | 내용증명수수료 | 제작수수료 | 익일특급수수료 | 요금합계 |
등기통상 | 430 | 2,100 | 1,300 | 90 | 3,920원 | |
익일특급 | 430 | 2,100 | 1,300 | 90 | 1,000 | 4,920원 |
내용증명의 효력은 얼마나 될까?

내용증명은 법원의 판결처럼 강제력이 있는 문서는 아닙니다.
하지만 소송에서 중요한 증거 자료로 인정되고,
다음과 같은 효력을 발휘합니다.
◈ 의사 표시 사실 입증 가능
◈ 심리적 압박 효과
◈ 소멸시효 중단 기능 (단, 6개월 내 소 제기 필요)
◈ 법적 분쟁 시 증거자료로 활용 가능
※ 주의사항
내용증명을 보냈다고 해서
상대방이 반드시 응답하거나 이행할 의무는 없습니다.
결국 이행이 안 될 경우엔 법적 조치(소송 등)가 필요
자주 묻는 질문 (Q&A)
Q1. 내용증명은 꼭 우체국에 가야 하나요?
아니요! 휴대폰이나 컴퓨터로 인터넷우체국에서 바로 보낼 수 있습니다.
Q2. 상대방이 내용증명을 안 받으면 무효인가요?
아닙니다. 발송했다는 사실 자체가 중요하며, 수취 거절도 증거로 남습니다.
Q3. 보낸 후 취소할 수 있나요?
우체국에서 발송 전이라면 가능하지만, 접수 후엔 취소가 어렵습니다.
Q4. 꼭 법률용어를 써야 하나요?
아니요! 쉽고 명확한 표현이 더 중요합니다.
다만, 날짜, 요구 내용, 기한 등은 반드시 명시하세요.
Q5. 내용증명을 보내면 시효가 자동으로 멈추나요?
일부 경우엔 소멸시효를 중단시키는 효력이 있지만,
6개월 이내 소송 제기가 필요합니다.
마무리하며
내용증명은 내 권리를 지키는 똑똑한 선택입니다.
내용증명 계약 문제, 돈 문제, 권리 주장등
이런 일이 생기면 무작정 감정적으로 대응하기보단,
공식적인 절차와 기록이 남는
‘내용증명’부터 시작하는 것이 현명한 대응입니다.
오늘 설명드린 내용을 참고해서,
상황에 맞는 문서를 작성하고,
꼭 필요한 순간을 놓치지 마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