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는 기본부터 시작해야 합니다
재테크를 시작할 때
가장 먼저 마주치는 장벽은
복잡한 금융 용어들입니다.
주식, 채권, ETF, 복리, 수익률 등
처음 듣는 단어들이 쏟아지면
누구나 혼란스럽기 마련입니다.
하지만 재테크는 감으로 하는 것이 아닙니다.
정확한 개념 이해가 성공 투자의 시작입니다.
오늘은 재테크 초보자는 물론,
경험자에게도 꼭 필요한
핵심 재테크 용어를 한눈에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수익률과 복리, 기본 개념
재테크의 기본은
'수익률'과 '복리' 이해입니다.
수익률(ROI)
- 투자금 대비 얻은 이익의 비율입니다.
- 공식: (순이익 ÷ 투자금) × 100
- 예시: 100만 원이 110만 원이 되면 수익률은 10%
복리(Compound Interest)
이자에 이자가 붙어
시간이 갈수록 자산이 불어나는 구조입니다.
장기 투자 시 복리의 힘은
상상 이상으로 강력합니다.
Tip
조금 낮은 수익률이라도
복리로 오래 투자하면
놀라운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예금과 적금, 무엇이 다를까?
재테크 입문자라면
예금과 적금 차이부터 정확히 알아야 합니다.
예금
이미 모아둔 목돈을
일정 기간 은행에 맡기고,
만기 시 이자와 함께 돌려받는 상품입니다.
적금
매달 일정 금액을 저축해
만기에 원금과 이자를 받는 방식입니다.
유형:
정기 적금(매월 고정 금액),
자유 적금(자유롭게 금액과 횟수 선택)
Tip!
예금은 목돈 운용에,
적금은 차곡차곡 자산 만들기에 유리합니다.
사회 초년생이라면 적금부터 시작해 보세요.
금리와 기준 금리 쉽게 이해하기
금리는 경제 전반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는 개념입니다.
금리(Interest Rate)
돈을 빌리거나 맡길 때
적용되는 돈의 사용료입니다.
기준 금리(Base Rate)
한국은행이 정하는
모든 금융권 금리의 기준이 되는 금리입니다.
Tip
기준 금리가 낮아지면 예금 이자는 하락,
기준 금리가 오르면 대출 이자는 상승합니다.
고정 금리는 금리가 변하지 않고,
변동 금리는 시장 상황에 따라 금리가 변동됩니다.
리스크 관리와 분산 투자 전략
성공적인 재테크를 위해선
리스크 관리가 필수입니다.
리스크(Risk)
투자에서 발생할 수 있는
손실 가능성입니다.
분산 투자(Diversification)
자산을 여러 곳에 나누어 투자해
리스크를 최소화하는 전략입니다.
Tip
'한 바구니에 모든 달걀을 담지 말라'는
투자의 기본 원칙을 기억하세요.
ETF와 인플레이션에 대비하는 법
현대 재테크에서
ETF와 인플레이션 이해는 필수입니다.
ETF(Exchange Traded Fund)
여러 자산을 묶어
하나의 주식처럼 거래하는 상품입니다.
인플레이션(Inflation)
시간이 지나면서
물가가 지속적으로 오르는 현상입니다.
Tip
금, 원자재 ETF에 투자하면
인플레이션 리스크를 분산할 수 있습니다.
자산과 부채, 순자산 개념 잡기
재테크의 기본 중 기본은
자산과 부채 구분입니다.
자산(Assets)
현금, 주식, 부동산, 자동차처럼
돈으로 바꿀 수 있는 모든 것.
부채(Liabilities)
대출금, 카드 할부금 등
갚아야 할 모든 빚.
순자산(Net Worth)
자산에서 부채를 뺀 금액입니다.
Tip
겉으로 보이는 자산이 많아 보여도
부채를 제외한 순자산이
진짜 재정 상태를 보여줍니다.
제1금융권, 제2금융권 대출 기본 상식
제1금융권
국민은행, 신한은행 등 이자율이 낮고
신뢰도가 높은 은행들입니다.
제2금융권
저축은행, 캐피탈사, 보험회사 등
대출 문턱은 낮지만 이자율이 높은 기관입니다.
Tip
가급적 제1금융권부터 이용하고,
제2금융권은 신중하게 선택하세요.
코스피와 코스닥 차이
코스피(KOSPI)
삼성전자, 네이버처럼
국내 대기업이 상장된 시장입니다.
코스닥(KOSDAQ)
성장 가능성 있는
중소기업 중심의 시장입니다.
지수란?
시장 전체 흐름을 숫자로 표현한 것.
재무제표, 상장, 배당 개념 정리
재무제표(Financial Statements)
회사의 수익성, 안정성, 성장 가능성을
파악할 수 있는 돈 관리표입니다.
상장(IPO)
회사가 주식을 공개적으로
팔게 되는 과정입니다.
배당(Dividend)
회사가 벌어들인 이익을
주주에게 나누어 주는 것입니다.
Tip
배당주에 장기 투자하면
시세 차익 + 배당 수익 모두 기대할 수 있습니다.
주식과 채권, 투자 기본 구분
주식(Stock)
기업의 소유권을 나누어
투자하는 방식입니다.
채권(Bond)
투자자가 회사나 정부에 돈을 빌려주고,
이자와 함께 돌려받는 투자 방식입니다.
Tip
주식은 높은 수익과 높은 리스크,
채권은 낮은 수익과 낮은 리스크를 가집니다.
마무리하며
용어 이해가 재테크 성공의 지름길
재테크를 잘하는 사람은
'정보'가 아니라 '이해'를 무기로 삼습니다.
수익률, 복리, 리스크, 분산 투자,
ETF, 인플레이션, 예금, 적금, 금리,
자산, 부채, 주식, 제1·2 금융권,
코스피, 코스닥, 재무제표,
상장, 배당, 채권까지.
이 기본 개념들을 정확히 익히면
불확실한 시장에서도
흔들림 없이 성장할 수 있습니다.
지금부터라도 탄탄한 금융 상식을 쌓고,
현명한 자산 관리의 길로 함께 나아가봅시다!
이상 재테크기초에 관한 글을 마칩니다.
재테크란? 돈을 불리는 기본 원칙과 성공 전략
오늘날 많은 사람들이 재테크에 관심을 갖고 있습니다. "재테크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을 간단히 하자면, 재테크는 자신의 자산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투자하여 돈을 불리는 전략을
bds-search.tistory.com
20대 소액투자 - 적립식 펀드와 ETF로 시작하기
사회 초년생으로서 소액 투자를 시작하고 싶지만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막막한 경우가 많습니다. 요즘, 20대 남성인 경우 군제대를 하고 나면 군적금이 25년 3월 제대기준으로 만기수령 시 1
bds-search.tistory.com
금리 인하 및 금리 인상은 왜 하는걸까?
오늘 한국은행은 기준금리를 0.25% 포인트 내려 2.75%가 되었습니다.이유는 저성장 우려로 내렸다고 하는데요, 그럼 금리 인하와 금리 인상은왜 하는지 그리고 우리에게는 직접적으로 어떤 변화가
bds-search.tistory.com